English/English_문법·용법

구조에 대한 직관 & 수형도

JJun ™ 2006. 8. 24. 19:07

다음 예문을 통해 문장이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무엇을 뜻하는지 알아보자.


(1) The man put his car into the garage.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모국어 화자가 문장 (1)을 들었을 때, 이 화자는 단지 이 문장이 일련의 단어로 구성되어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을 것이다. 즉, 이 문장의 각 단어가 어떤 단어에 대해 다른 단어보다도 더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고 생각할 것이다. 전통문법에서는 이러한 직관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2)

a. 단어 the와 단어 man이 합하여 구 the man을 이룬다.
b. 단어 the와 단어 garage가 합하여 구 the garage를 이룬다.
c. 단어 into와 구 the garage가 합하여 구 into the garage를 이룬다.
d. 단어 his와 단어 car가 합하여 구 his car를 이룬다.
e. 단어 put, 구 his car, 구 into the garage가 합하여 put his car into the garage를 이룬다.
f. 구 the man과 구 put his car into the garage가 합하여 문장 the man put the car into the garage를

   이룬다.


이를 도식화하면 (3)이 된다.


(3) the man| put | his car | into the garage|

구의 구조를 논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구의 내부 구조를 분석하는 방법이며, 다른 하나는 구가 다른 요소와 결합하여 좀더 큰 구조를 이루는 방법을 기술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put his car into the garage가 (1)과 같은 문맥에서는 나타날 수 있지만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문맥에서는 사용될 수 없다.


(4)  a. *The man wanted put his car into the garage.
      b. *The man kept put his car into the garage.


반면에 예로 든 put his car into the garage의 내부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동사 put이 다른 두 개의 구를 수반하여 하나의 구를 이룬다는 것을 명백히 해야 한다. 즉 put이 두 개의 구를 취하지 않거나, 또는 다른 유형의 구를 취하면 비문이 되는데, 이를 지배하는 규칙이 무엇인지를 밝혀야 한다.


(5) a. *The man put his car.
     b. *The man put into the garage
     c. *The man put his car in the morning.
     d. *The man put his car to be into the garage.


따라서 본장에서는 어떤 요소가 서로 결합하여 구를 이루는지, 그리고 어떻게 이러한 구를 구별해내는지

알아본다.

 

문장 (1)에 대한 직관으로 (2)를 제시하고, 이를 나타내는 방법으로 (3)과 같은 방법이 있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구조주의(structuralism) 문법에서는 이러한 직관을 다른 방법으로 표현한다. 먼저 문장 (1)을 한 번 나눈다면, the man과 나머지 부분 put his car into the garage로 나눈다. 이러한 분석 방법을 직접 성분 분석(Immediate Constituent(IC) Analysis)이라 하는데, 문장 (1)에 대한 첫번째 직접 성분 분석은 (6)이 된다.


(6) The man | put his car into the garage
    -------------------------------

(6)에서 the man put, 그리고 나머지 부분으로 나누지 않은 이유는 the man 대신에 the woman,

this girl 등이 사용될 수 있는 반면, the man put 대신에 the woman kept 등이 사용되지는 못하기

때문이다.

 

즉, (6)에서 the man 대신 the woman이 사용되어 The woman put his car into the garage가 될 수 있지만, the man put 대신에 the woman kept가 사용되면 The woman kept his car into the garage와

같은 비문이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영어 모국어화자에게 위의 문장을 한번 끊어 읽도록 할 경우에 man과 put 사이에 한번 휴지를 두어 읽는다. 이처럼 하나의 단위로 사용될 수 있는 요소를

구성소(constituent)라 한다.

 

그리고 서로 대치하여 사용될 수 있는 요소를 총칭하여 범주(category)라 한다.

예를 들어 (6)에서 the man은 구성소를 이루며, (6)에서 the man 대신에 the woman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the man과 the woman은 같은 범주에 속하게 된다.

(6)에서 into the garage 대신에 on another car로 대치할 수 있으므로,

(6)을 (7)과 같이 다시 나눌 수 있다.


(7) The man | put his car | into the garage


(7)을 다시 한번 나눈다면 put과 his car 사이가 될 것이다.


(8) The man | put | his car | into the garage

물론 (8)에서 the man은 the와 man으로, his car는 his와 car로,

그리고 into the garage는 into와 the garage로, 다시 the garage는 the와 garage로 나뉘어질 것이다.

반면에 변형생성문법(Transformational-Generative Grammar)에서는 이와 같은 도표 대신에

다음과 같은 수형도(tree diagram)를 사용한다.


(9)                         ●
                  /                 \
                ●                    ●
            /      \          /      |      \
          ●       ●       ●      ●       ●
           |        |         |   /     \  /     \
        The    man     put ●    ● ●       ●
                                   |      |  |      /    \
                                  his  car into ●    ●
                                                     |      |
                                                   the garage


수형도에서 ●로 나타낸 부분을 마디(node)라 하며, 특히 가지를 가진 마디를 분지마디(branching node)라 한다. 각 마디는 구성소를 나타낸다. 각 단어가 하나의 구성소를 이룰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구성소가 결합하여 더 큰 단위의 구성소를 이룬다.

이러한 형태의 수형도가 구성소에 대한 모국어 화자의 직관을 반영해 주기는 하지만, 어떤 한 구성소가 동일한 유형에 속하는가에 대해서는 설명해주지 못한다. 즉 the와 his가 서로 대치될 수 있는 구성소인 반면, man과 his는 서로 대치될 수 없다. 이와같은 구성소 간의 유사성과 차이를 표현하는 방법은 품사(parts of speech)이다. 변형문법에서는 품사라는 전통적인 용어 대신 범주(category)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9)에서 the는 a, this 등과 함께 한정사(determiner; D)로 분류된다. man은 car, garage와 같이 명사(noun; N)로 분류되며, put은 walk, give와 같이 동사(verb; V)로 분류된다.

단어가 서로 다른 혹은 같은 범주에 속하듯이, 단어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구(phrase)도 같은 범주에 속하거나 다른 범주에 속한다. 예를 들어 (9)에서, the man의 경우 중심 되는 요소인 man의 범주가 N이므로, the man의 범주는 N의 구범주(phrasal category)인 명사구(Noun Phrase; NP)가 되며, 마찬가지로 his car도 NP에 속한다. into the garage에서 into는 전치사(preposition; P)로서 NP인 the garage와 결합하여 전치사구(Preposition Phrase; PP)를 이룬다. 또한 put, his car, into the garage의 세 구성소 가운데 중심 되는 V가 핵(head)이 되어 동사구(Verb Phrase; VP)를 이룬다. 마지막으로 The man put his car into the garage가 절(clause), 즉 문장(sentence; S)이다.

이러한 범주적 정보가 (9)에는 나타나 있지 않는데, ●로 표시된 마디에 범주 표지(category label)를 붙여 (10)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10)                                         S
                                     /              \
                                   NP             VP
                                /      \     /     |      \
                               D       N    V    NP      PP
                               |        |     |   /   \  /     \
                            The    man put D    N P       NP
                                                   |    |  |     /    \
                                                 his car into D    N
                                                                  |      |
                                                                the garage


(10)과 같은 수형도는 문장이 어떠한 구조를 가지는지를 보여 준다. 뿐만 아니라 구가 어떻게 결합하여 문장을 이루는지를 보여 준다. (10)은 문장의 구조를 세부적으로 보여 주는데, 이와같은 세부적 구조가 필요하지 않을 경우에는 (11)과 같이 삼각형을 사용하여, 내부구조를 부분적으로 보여 주기도 한다.


(11)                S
              /           \
          NP             VP
        /  \         /   |   \
      /___\      V  NP     PP
    the man      | /__\ /___\
                  put his car into the garage

(10, 11)과 같은 수형도는 문장의 구조를 명시적으로 보여 주기는 하지만, 공간을 많이 차지한다. 수형도 대신에 흔히 표지 붙은 괄호(labelled bracketing)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수형도보다는 공간을 적게 차지하지만 구조가 눈에 쉽게 들어오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10)과 (11)을 표지붙은 괄호로 나타내면 (12) 및 (13)이 된다.


(12)

[S [NP [D the] [N man]] [VP [V put] [NP [D his] [N car] [PP [P into] [NP [D the] [N garage]]]]]

(13) [S [NP the man] [VP [V put] [NP his car] [PP into the garage]]]


수형도와 표지붙은 괄호가 논리적으로 서로 같은데, 대개 문장의 구조를 자세히 나타내고자 할 때는 수형도를 사용하고, 문장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고자 할 때는 표지 붙은 괄호를 사용한다.

이와같이 문장이 계층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는 것은, 이렇게 함으로써 자연 언어가 가지고 있는 중의성을 설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14) very old men and women


(14)가 분명히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I want a ball에서처럼 어휘적 중의성(lexical ambiguity)에 의한 것이 아니라, 구조적 중의성(structural ambiguity)에 의한 것이다. 즉 very old가 men만을 수식하는 경우에는 woman and very old men과 같은 의미이며, very old가 men and women을 수식할 경우에는 very old men and very old women과 같은 의미이다. 이러한 중의성을 설명하는 자연스런 방법은 (14)가 두 가지 구조를 갖는다고 하는 것이다. 전자의 의미는 (15a)로, 후자의 의미는 (15b)로 나타낼 수 있다.


(15)

이처럼 문장이 단순히 단어가 나열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계층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함으로써 언어에 대한 직관을 설명해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