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SSON 6. 과학적 방법
문제를 주시하고 사실을 정리하고 결론은 내림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과학적인 방법이 있다. 첫째는
사실수집인데, 과학자는 사람, 동물, 물체, 물질 등과 같은 대상을 관찰하면서 사실을 수집한다. 과학자는 대상의 본질, 대상의 운동방식, 대상의
특성 등등에 주목한다.
둘째는 사실입증인데, 과학자는 동일한 결과가 나타나는지를 알기 위해 반복적으로 관찰하고 실험함으로써 자신이 관찰한
바가 사실인지 아닌지를 점검한다.
셋째는 사실정리인데, 과학자는 관찰과 반복실험을 통해 수집한 모든 사실을 질서정연하게 정리하고
분류함으로써 사실들간의 관계를 찾아낸다.
넷째는 일반화인데, 모든 사실들이 어떤 특정한 견해를 뒷받침해줄 경우 과학자는 구체적인 사실들을
일반화시킨다. 이것은 귀납적 추론이라고도 하는데, 귀납적 추론이란 개별적인 모든 사례들을 근거로 해서 하나의 규칙을 이끌어내는 것을 말한다.
다섯째는 원리의 정립인데, 일반화된 내용을 점검하고 그 내용에 무리가 없음을 거듭해서 확인한 후 과학자는 사실들간의 이러한 관계를 규칙
혹은 원리로 정립화 시킨다.
영문을 읽을 때에도 이와 동일한 과정을 따라가야 한다. 독자 여러분은 제시된 견해나 정보를 수집해야 한다.
문제에 답할 때에는 글 속에 제시된 사실이나 정보에 의거해서 자신의 답을 입증 혹은 점검해야 한다. 그리고 글을 읽으면서 관련된 사실을 정리
혹은 분류해야 한다. 사실을 근거로 일반화하고, 사실들간의 관계, 제시된 견해들의 의미, 필자가 자신이 수집한 사실이나 자신의 견해를 제시하는
방식에 관한 문제에 답해야 한다. 실제로 선다형 문제들은 글 속에 나타난 사실을 근거로 한 가장 적절한 일반화가 정답이 되게끔 만들어져 있다.
Ⅰ. 관찰에 의거한 사실 수집
우리는 모든 감각(시각, 청각, 미각, 후각, 촉각)을 통해서 새로운 것을 배우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시각을 통해서 배우는데 이는 분명한 사실이다. 이러한 사실을 우리가 대상을 관찰하는 모든 방식들에 비추어 보자. 우리는 시각을 통해 사물의
표상이나 관찰 대상을 받아들인다. 두뇌는 이러한 표상에 명칭이나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그 표상들을 정리한다. 표상이 우리의 경험이나 기억을 통해
의미를 부여받을 때 우리는 그 표상을 개념이라 칭한다. 모든 영문독해 과정은 표상(시각적 인상)과 개념 (두뇌적 의미)이 형성되는 과정이다.
우리가 새로운 단어를 익히거나 글, 그림, 도표, 군상(群像)등 가시적인 모든 대상의 의미를 해석할 때마다 그와 같은 방법이 활용되고 있는
것이다. 눈을 감고 그 그림, 방, 군상의 모습을 그려 보라. 출근길이나 쇼핑할 때나 어디서나 주의 깊은 관찰을 통해 세세한 것들이 얼마나 많이
시야에 들어오는지 시험해 보라. 눈을 감고 집중해서 귀를 기울이는 방법도 있다. 얼마나 많은 갖가지 소리들이 들리는가? 하나 하나를 분간할 수
있는가? 여러분은 소음이나 그 밖의 이유로 이전에는 들어본 적이 없는 작은 소리들이 매우 많다는 사실에 놀랄 것이다.
여러분은 미각이나
후각 혹은 촉각을 통해 식별하고 이해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가를 알기 위한 실험을 해 보고자 할는지도 모른다. 이러한 실험의 목적은 단지 특정한
한 감각이 제 기능을 얼마나 잘 하는가를 알아보는 것일 뿐이다. 실제로는 어느 한 감각에만 의존할 필요가 없다. 우리는 모든 감각을 다 활용해야
한다. 우리가 새로운 것에 접할 때 감각 하나 하나가 제 몫의 기능을 하는 것이다.
과학자뿐만 아니라 과학을 공부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특수장치를 이용해서 모든 감각의 기능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망원경은 인간의 눈이 미칠 수 있는 영역너머의 것을 볼 수 있게 해준다. 현미경은
아무리 뛰어난 시력을 지닌 사람도 볼 수 없는 매우 미세한 입자들을 확대시킨다. 전화나 무전기에 설치된 전자장비는 인간의 귀가 미칠 수 있는
영역을 훨씬 벗어난 지역에서 보내온 신호들을 포착한다. 텔레비전이나 영화를 볼 때 우리는 자막을 보는 동시에 소리를 들음으로써 시각과 청각이라는
두 감각의 기능범위를 넓힌다. 그밖에도 X-ray 촬영기는 인체나 물체의 내부를 볼 수 있고 표면상으로는 나타나지 않는 물질의 결함을 탐지할 수
있다. 화학장치는 복합물질의 구성성분이나 요소를 분리해 낼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어떤 대상을 봄에 있어 그 대상이 실제와는 다르다고
느낄 때가 있다. 먼 거리에 있는 대상을 볼 때 우리가 일으키는 착각이 그 간단한 예이다. 우리가 눈으로 보기에 달은 대략 농구공만 해 보이고
별은 반짝이는 작은 점과 같이 보인다. 그러나 우리는 그러한 대상과 우리 사이의 거리가 이러한 착각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긴 철길을
길이 방향으로 내려다보면 두 개의 철로가 점차로 근접해 가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우리는 실제로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다. 무더운 날
대로나 먼지투성이의 건조한 지표면을 보면 그 곳에 물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 지표면에서 솟아오르는 열파가 가물거리는 모습이 멀리서 보기에는
물처럼 보이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사막 여행자들의 이야기 속에서 빈번히 나타나는 것으로 신기루 현상이라고 불린다.
다음에 제시된
감각의 사례들을 살펴보고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확인해 보라. 첫째, 여러분의 첫 반응 혹은 첫인상. 둘째, 여러분의 첫 반응 혹은 첫인상에 대한
스스로의 의문이나 의구심. 셋째, 실제의 사실 확인을 위한 조치.
EXAMPLE 1 : Which line is longer, a
or b?
a
EXAMPLE 2 : Which line is longer, a or b?
a
EXAMPLE 3 : Which ball is longer, a or b?
a
a b
각각의 경우에서 여러분이 보인 첫 반응은 잘못된 것일 수가
있다. 보기 1과 보기 2에서는 한 쪽의 선이 다른 쪽의 선보다 길게 보였을 는지도 모르고 보기 3에서는 한쪽의 원이 다른 쪽의 원보다 크게
보였을는지도 모른다. 그와는 달리 보다 예리한 관찰력을 지닌 사람이 있었을지도 모르겠다. 그러한 사람은 양쪽의 크기가 같다고 보았을 것이다.
또는 이 실험이 양쪽이 달라 보이게 끔 고안된 실험이 아닌가 하고 의심을 해 보았을 것이다. 본인은 여러분이 여러분 자신이 관찰한 바를
의심했거나 그 관찰에 의문을 제기했다는 사실을 과학적인 것으로 강조하고자 한다. 그 다음의 일은 개인적인 문제이다. 그렇지만 여러분은 보다
자세히 살펴보고 양쪽을 눈으로 일직선상에 올려놓아 보았거나 차이점이 있는지를 신중하게 가늠해 보았을 것이다.
더 나아가 이러한 현상은
우리가 우리자신의 감정이나 정서에 매혹 당할 때에도 나타난다. 때때로 우리는 어떠어떠한 사람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소망을 지닌 나머지 아무런
확증도 없이 어떤 생각을 믿게 된다. 이렇게 될 때부터 우리는 편견을 갖게 되고 우리가 싫어하는 사람들에 대한 엉뚱한 소문을 믿게 된다. 그
결과로 우리의 머리 속에 상투형들이 설정되는데 우리는 우리가 받은 인상만으로 몇몇 개인들의 한 두 가지 특징이나 행동을 근거로 해서 전체집단의
사람들을 분류한다. 의사들은 병원이나 진료소에서 일할 때 보통 흰색 상의를 입는다. 광고 시에는 우리가 예상하고 있는 그와 같은 표상이 채택되어
각종 상품판매에 이용된다. 흰색 상의를 입고 있는 사람이 너무도 진지하고 과학자와 같은 모습을 지니고 있어서 우리는 달려나가 그가 판매하고 있는
물품을 구입하게 된다. 항상 부정적인 모습으로만 나타나는 사람들을 볼 대 우리가 받게 되는 잘못된 인상들과 같은 것은 더욱 더욱 심각한 것이다.
우리가 흑인들, 멕시코 계 미국인들, 인디언들, 혹은 백인들에 대한 편견을 가지고 그러한 사람들을 좋지 않게 보고 있을 경우 우리는 우리가
어떻게 해서 그러한 인상을 받게 되었는가를 생각해 보아야 한다. 그러한 인상은 공정한 것인가? 사실들에 의해 뒷받침되는 것인가? 우리는 그러한
결론을 내리기에 충분할 만큼 여러 유형의 사람들을 관찰해 본적이 있는가?
Ⅱ. 과학적 방법 -사실입증
입증한다는 것은 사실임을 증명하는
것을 뜻한다. 입증을 할 때 우리는 우리가 관찰한 사항을 믿기 전에 다른 방식으로 그 사항을 검토해보아야 한다. 세 사람, 즉
스카치(scotch)와 물을 마시는 첫 번째 사람, 번번(bourbon)과 물을 마시는 두 번째 사람, 호밀위스키(rye)와 물을 마시는 세
번째 사람에 관계된 해묵은 농담이 하나 있다. 이 세 사람 각각은 모두 취했다. 세 사람 각각이 모두 마신 것이 물이었기 때문에 농담을 했던
사람은 물이 사람들을 취하게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과학적으로 입증을 하는 단계에서는 결과를 야기한 가능한 모든 원인들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각기 다른 세 종류의 술이 취기의 원인이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과학자라면 일반화 작업을 계속해서 그 세 종류의 술에 들어있는 에틸
알코올(ethyl alcohol)이 원인이었다는 사실을 지적할 것이다.
입증은 모든 독서에 필요한 것이지만 영어로 된 과학서적을 읽을 때
특히 중요한 것이다. 제시된 사실들의 의미를 생각하고 사실들을 점검한 뒤 그 사실들에 관련해서 결론을 내려야 한다. 사실들의 순서나 관계를
추적하면서 원인과 결과를 찾아야 한다.
Ⅱ. Ⅲ. 과학적 방법 -
사실정리
집적된 사실들을 매우 혼란스러운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논리적인 분류나 정리가
필요하다.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거나 동일한 범주 혹은 유형에 속하는 사항들을 찾아보아야 한다. 일례로 다음과 같이 두 개의 난으로 나뉘어
제시되어 있는 사항들을 살펴보자.
어 구 - oak : 오우크《떡갈나무․참나무․가시나무의 무리》.
cucumber : 오이. violet : 제비꽃. squash : 호박류, 과즙음료. maple : 단풍나무. tulip : 튤립. vine
: 덩굴식물, 포도나무. mercury : 수은. thermometer : 온도계. barometer : 기압계, 청우계. metallic :
금속의. explosive : 폭약, 푹발물 ; 폭발의, 폭발하기 쉬운. freeze : 얼다, 동결하다. boil : 비등하다, 끓다.
cinnabar : 진사, 적색 황화수은. mercuric : 수은의. sulfide : 유황. contract : 수축하다. liquid :
유동체, 액체.
번 역 - 보기 5
수은(제 1형태)
온도계와 기압계에 사용됨
화학기호는 Hg임
은백색 금속물질
폭발물 제조용 재료
빙점-40°F, 비등점 675°F
주로 진사 辰砂(황화수은)에서 발견됨
온도변화에 따라 일정하게 팽창․수축
평상 기온 하에서는 유동체임
의약품 재료로 이용됨
수은(제 1형태)
개요-은백색 금속물질
진사(황화수은)에서 주로 발견됨
화학기호는 Hg임
특성-평상 기온 하에서는 유동체임.
빙점-40°F, 비등점 675°F
기온변화에 따라 일정하게 팽창․수축함
용도-온도계 및 기압계
의료품
폭발물
해 설 - 보기 4는 표제들이 무질서한 임의의 사항들을 분류해서 논리적으로 정리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보기 5는 세 개의
표제 혹은 범주가 설정됨으로써 수은에 관한 과학적 사실들이 정리되었다.
MATERIAL
1.
Linnaeus used two Latin or Greek names for each plant and animal
in his system of binomial nomenclature, a genus and a species name. Thus man is
known as Homo sapiens, while the dog is Canis familiaris, and the house cat is
Felis domestica. A species is considered to be a closely related group of plants
or animals that are similar in structure and can interbreed. A genus consists of
one or more species that show many similarities. Thus, the house cat species,
Felis domestica is grouped in the same genus, Felis, as other species of the cat
family, Felis leo, the lion and Felis tigris, the tiger. The genus name is
spelled with a capital letter, while the species name usually begins with a
small letter. TAXONOMY is the division of biology that deals with the
classification of plants and animals, based on the similarities of their
structures. All living things are grouped into either the Animal Kingdom or the
Plant Kingdom. Animals are further grouped into ten large divisions, phyla,
while plants are arranged in four phyla.
The classification scheme follows
this arrangement :
Kingdom - phylum - class - order - family - genus -
species - variety. As an example, the house cat would be classified as follows :
Kingdom : Animal
Phylum : Chordata (animals with backbone)
Class :
Mammalia (warm-blooded animals having hair and producing milk)
Order :
Carnivora (meat-eating animals with long canine teeth)
Family : Felidae (cat
family, with sharp, curved claws)
Genus : Felis (closely related members
such as cat, lion, tiger)
Species : domestica (the'house cat)
Variety :
specific types of cat, such as the Persian cat, Siamese cat, Manx cat, etc.
QUESTION 1. The classification with the most different kinds of
animals is .
(A) species (B) order (C) genus (D) family
QUESTION
2. Compared to the ordinary house cat, a leopard would be in the same
.
(A) genus (B) species (C) variety (D) all of the above
QUESTION
3. A person, a house cat, and a canis familiaris are all part of the same
.
(A) genus (B) species (C) family (D) phylum
어 구 - Linnaeus :
스웨덴 식물학자 린네. binomial : 이 명 식(二 名 式)의, 이항《식》의. nomenciature : 《조직적》 명명법《특히 전문적인
학문의》. genus : 속《family와 species와의 중간》. species : 종《genus의 아래의 구분》. Homo sapiens
: 인류. Canis : 개속. interbreed : 이종교배(異種交配)시키다, 잡종번식을 하다. similarity : 유사. group :
분류하다. spell : 《낱말을》철자하다. taxonomy : 분류학, 분류법. classification : 분류. Animal
Kingdom : 동물계. Plant Kingdom : 식물계. Kingdom : 계. phylum : 문. class : 강. order :
목. family : 과. variety : 변종. classify : 분류하다. as follows : 다음과 같이. chordata :
척색동물. backbone : 등뼈, 척추. Mammalia : 포유동물. warm-blooded : 온혈의, 열혈의, 피끓는, 열렬한.
Carnivora : 육식류, 육식동물. meat-eating : 육식의 . canine : 개의, 개 속의 cf. canine
tooth(송곳니). claw : 발톱. specific : 특수한, 특유한, 종(種)의, 특유의. Persian : 페르시아의. Siamese
: 샴의. Manx : 맨 섬(the isle of Man)의.
번 역 - 린네는 이 명 법(二 名 法)의 체계를 세워서
각각의 동식물 표기에 라틴어 명칭과 희랍어 명칭. 즉 속명(屬名)과 종명(種名)을 사용했다. 따라서 인간은 호모사피엔스로 알려져 있고 개는
케이니스 퍼밀리어리스로 알려져 있으며 집 고양이는 펠리스 더메스티카로 알려져 있다. 구조가 유사하고 이종(異種) 교배가 가능한, 서로
근족(近族) 관계에 있는 동식물 집단을 종(種)이라 한다. 여러 면에서 서로 유사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종이 모여 속(屬)을 이룬다. 따라서
집고양이 종인 펠리스 더메스티카는 고양이과(科)의 다른 종인 펠리스 레오, 즉 사자나 펠리스티그리스 즉 호랑이와 마찬가지로 펠리스라는 동일한
속이 들어간다. 종명은 보통 소문자로 시작되는 반면에 속명은 대문자로 시작된다. 분류학(TAXONOMY)은 동식물 구조의 유사성에 근거하여
동식물들을 분류하는 생물학의 한 분야이다. 모든 생명체는 동물계 아니면 식물계에 속한다. 동물은 다시 문(門)이라고 하는 10가지의 부류로 크게
나누어지고 식물은 4가지의 문으로 분류된다.
분류체계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계(界)-문(門)-강(綱)-목(目)-과(科)-속(屬)-종(種)-변종(變種). 예를 들어 집 고양이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계 : 동물
문 : 척색(脊索) 동물 (등뼈를 지닌 동물)
강 : 포유동물 (털이 있고 젖을 분비하는 온혈동물)
목
: 육식동물 (긴 송곳니를 지닌 육식동물)
과 : 펠리디 (날카롭고 휘어진 발톱을 지닌 고양이과 동물)
속 : 펠리스 (고양이,
사자, 호랑이와 같이 근족관계에 있는 동물)
종 : 더메스티카 (집 고양이)
변종 : 고양이의 특수한 변종으로는 페르시아 고양이,
샴고양이, 맨 섬 고양이 등이 있다.
해 설 - 1. 독자 여러분이 생물의 분류체계를 이해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문제이다.
위 글에는 각각의 분류가 어떻게 소부류로 세분되는가 하는 것이 설명되어 있다. 이 설명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등급이 높은 분류항에 가장 많은
소부류들, 즉 가장 많은 종류의 동물들이 포괄된다. 정답은 (B)이다.
2.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한 이해를 요하는 문제이다. 가내
동물로는 적합하지 않은 표범은 더메스티카 종에 속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변종을 제시한 선택안과 (D)는 정답에서 제외된다. 정답은
(A)이다.
3. 위에 언급된 이 세 가지가 동일한 속이나 종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은 우리가 알고 있는 사실이다. 그런데 이들은 모두
함께 산다고 말할 수 있는 것들인 만큼 (C)를 답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과학적인 분류체계상의 “과”(FAMILY)는
동일한 일반적 특성들을 지닌 동물 군을 지칭하는 말이다. 합당한 답안으로서 유일한 것은 (D)이다. 척색 동물 “문”(Phylum)에는 위의 세
가지 모두가 포함된다.
Ⅳ. 과학적 방법 -
일반화
일반화란 우리가 앞에서 배웠던 추정과 같은 것이다. 과학적인 방법상의 일반화는 결과
혹은 결론이다. 과학자는 사건이나 사실들을 관찰하고 정리한 뒤 그 사실들의 의미나 그 사실들이 입증해 주는 바를 결론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그러한 결론은 잠정적인 것이고 그러한 만큼 여타의 실험을 통해 입증되어야 하는 것이다. 실험장비 및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학교에서 공부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자신이 직접 많은 사실들을 입증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사람들의 글이나 말에 의존해야 할 경우에는 그들이 일반화하기 이전에
여러분을 대신해서 사실을 어떻게 점검했는가를 알아야 한다. 사실을 근거로 한 결론이 과학영어 자료들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는 일반화이다.
MATERIAL Ⅱ.
The food supply of wild animals shows a
dependence on lower and smaller forms of animal life. Each animal survives by
eating the smaller, the weaker, and the unwary. There is obviously a need for
greater numbers of smaller animals to maintain their own existence as well as to
be the unplanned food supply for the larger animal. As chances of survival are
smaller, nature compensates by more frequent and more numerous births among the
lower forms.
어 구 - wild animal : 야생동물. unwary : 부주의한. abviously
: 명백하게. numerous : 다수의, 대단히 많은.
번 역 - 야생동물들은 먹이를 공급받음에 있어 상대적으로 체구가
작은 하등동물에 의존하다. 동물들 각각은 자신보다 왜소하고 힘이 약하며 부주의한 동물을 잡아먹고 살아간다. 왜소한 동물들 자신이 살아남기
위해서나 체구가 큰 동물의 먹이가 그때 그때마다 제공되기 위해서는 말할 것도 없이 보다 많은 수의 왜소한 동물들이 필요하다. 동물들의 생존
가능성이 줄어들 경우 자연은 보다 많은 수의 하등 동물들을 보다 빨리 탄생시킴으로써 그에 대한 보상을 한다.
해 설 - 이
글에서는 식량공급원으로서의 왜소한 동물들에 관한 사실들을 근거로 해서 동물의 종이 보존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수의 동물들이 보다 빨리 탄생해야
한다는 결론이 도출된다. 그렇지만 질문을 던짐으로써 독자가 그러한 결론을 이해할 수 있게끔 윗 글을 구성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사실을
근거로 한 예측도 그와 유사한 하나의 유형이다. 독자는 타당한 결론을 파악해내야 한다. 이러한 유형에는 때때로 독자가 상식이나 자신의 경험을
통해서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이 첨가되기도 한다.
MATERIAL Ⅲ.
The process
of burning requires fuel, a temperature high enough, and oxygen. Fuel can be
almost anything, because there are very few substances which will not burn if
the temperature can be raised sufficiently. However, whether under cotrolled
laboratory conditions or in an ordinary house fire, it is oxygen that is the
critical factor. If a flame burns within an enclosed jar, it will go out when
the oxygen is used. If an open fire can be smothered with blankets or earth, the
flames will subside.
QUESTION. When a chemical foam fire extinguisher
puts out a fire, it does. so by
.
(A) scattering the burning parts.
(B) lowering the temperature.
(C) cutting off the oxygen supply.
(D)
making the fuel too wet to burn.
어 구 - oxygen : 산소. substance :
물질. sufficiently : 충분히. laboratory : 실험실, 연구소. critical : 결정적인, 중대한, 비평의, 위기의.
Flame : 물길, 화염, 격정, 애인. enclose : 뚜껑을 하다, 넣다, 동봉하다, 둘러싸다. jar : 병, 항아리, 단지. go
out : 《불이》꺼지다, 외출하다. smother : 《불을》묻다, …에게 숨막히게 하다. blanket : 담요. earth : 흙.
subside : 진정되다, 가라앉다.
번 역 - 연소과정에는 연료와 고온 및 산소가 필요하다. 온도가 충분히 상승할 경우
연소하지 않는 물질은 거의 없으므로 거의 모든 물질이 연료로 사용될 수 있다. 그렇지만 여러 가지 조건들이 적절히 갖추어진 실험실 상황하에서건
일상적으로 옥내에서 불을 피우는 경우이건 간에 결정적인 요인이 되는 것은 산소이다. 마개가 덮인 병 속에서 타오르는 불은 산소가 고갈되면
꺼져버린다. 밀폐되지 않은 장소에서 타오르는 불길을 담요나 흙으로 덮을 경우 그 불길은 잡힌다.
해 설 - 이 글에 제시된
사실들을 근거로 해서 독자는 기포(氣泡) 소화기가 작동하는 방식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C)가 가장 적절한 답이다. 잘못된 결론을 내리게
되는 문제들을 야기하는 실수에는 여러 가지 유형이 있다. 그중 한가지는 직전에 제시된 사실이 바로 그 다음에 제시된 것에 대한 원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MATERIAL Ⅳ.
She had worked in the office
during the day and rode home on the bus. That evening she decided to attend a
very popular and crowded movie. It was raining heavily when the show ended, but
she decided to walk the few blocks. When she arrived at the apartment, she was
very wet and chilled. The next day she had all the symptoms of a cold.
어 구 - popular : 인기 있는, 민중의, 대중적인. crowded : 꽉찬, 만원의, 붐비는. block
: 《시가의 도로로 둘러싸인》한 구획, 장애. symptom : 증후, 증상, 징후. cold : 감기, 추위.
번 역 - 그녀는
낮 동안 사무실에서 일한 뒤 버스를 타고 집으로 돌아왔다. 그날 저녁 그녀는 매우 많은 사람들이 즐겨 관람하던 영화 한편을 보려고 마음먹었다.
영화가 끝났을 때 비가 많이 내리고 있었지만 그녀는 몇 블록을 걸어가기로 했다. 아파트에 도착했을 때 그녀는 비에 젖어 오한을 느꼈다. 그
다음날 그녀는 영락없이 감기에 걸려버리고 말았다.
해 설 - 이 경우에 있어서 독자는 그녀가 비에 젖어 오한을 느꼈다는 사실이
바로 감기의 원인이라고 생각하게 된다. 그러한 사실이 그녀가 감기에 걸리는데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겠지만 그것이 감기의 원인이 아님은
분명하다. 감기의 원인은 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모여있던 곳이라면 어디에서나 체내로 흡입될 수 있는 바이러스이다. 제시된 사실들이 결론을
입증하기에 충분히 못하기 때문에 잘못된 결론을 내리게 되는 경우도 있다.
MATERIAL Ⅴ.
An agricultural research scientist wishes to test the germination
power of a particular strain of wheat. That is, he wants to know what proportion
of the seeds will grow to maturity. He picks one seed at random from a bunch of
wheat and that particular grain of wheat produces a strong and healthy stalk of
wheat.
QUESTION. We can conclude from this experiment that .
(A) the
rest of the seeds are the same
(B) this seed is the only healthy one
(A)
more seeds must be tested
(A) it was an accident that this seed was good
어 구 - agricultural : 농업의. germination : 발아, 발생. that is : 즉, 다시
말해서. proportion : 비율. seed : 씨앗. maturity : 완전한 발달, 원숙, 성숙. at random : 닥치는 대로 .
stalk : 줄기, 대, 《공장의》 높은 굴뚝.
번 역 - 농학자는 특정 종류의 밀의 발아력(發芽力)을 시험해 보고자
한다. 다시 말해서, 농학자는 성장할 수 있는 씨앗의 비율을 알고자 하는 것이다. 농학자가 밀 더미에서 임의로 하나의 씨앗을 택하면 바로 그 밀
알이 자라서 특특하고 건강한 밀대가 되는 것이다.
해 설 - 여러분은 이 문제를 잘 파악해서 (C)를 정답으로 선택해야
한다. 결론을 내리기 위해서는 두 개 이상의 밀 알을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어떠한 결론을 내리든 마찬가지이다. 많은 사실 혹은 사례들이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완벽한 시험은 실용적이지 못하다. 식품이나 산업제품 또는 그 밖의 모든 것들이 품질을 완벽하게 확인하려면 모든 물품을
하나하나 시험해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런 경우 사용 가능한 물품은 하나도 남아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과학자는 전체 가운데 표본 혹은 일부분을
택해야 한다. 표본의 수가 많을수록 그 만큼 더 자신 있게 결론을 내릴 수 있다.
MATERIAL Ⅵ.
어 구 - optical : 시각의, 눈의, 시력의, 광학의 cf. optical illusion (눈의
착각). distraction : 정신 착란, 주의 산만.
번 역 - 눈의 착각으로 인해서 두뇌가 무엇인가를 상정하는 현상이
일어난다. 대개의 경우 다음의 예에 있어서처럼 착란 작용이 일어나 감각의 지각력이 흐려지게 마련이다.
해 설 - 지금쯤에는
여러분이 이러한 유형의 문제에 익숙해져 있어서 (C)를 답으로 택했을 것이다. 바로 그러한 점이 우리가 어떤 유형을 너무도 쉽게 받아들인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한 가지 예이다. 그러나 이 문제의 경우에 이어서는 사각형 b가 더 작다. 따라서 (B)가 정답이다. 여러분에게는 이 문제가
여러분을 속이기 위한 문제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이러한 것을 제시한 이유는 잘못된 결론을 내리게 되는 또 하나의 사례를 예시하기 위해서이다.
우리는 사실을 확실하게 확인하기보다는 어떤 것이 바로 그러하다고 생각하는 습관에 젖어 있다.
Ⅴ. 과학적 방법 - 규칙수립
규칙 혹은 원칙의 수립이라고 하는 마지막 단계는 과학에 있어서 일반인에게 가장 유용한 부분이다. 과학자들은
반복되는 실험과 관찰을 통해서 어떤 물질이 유독성 물질이라거나 위험한 물질이라는 사실을 알게되고 그에 따라 우리는 음식물 부패의 원인과 병원균
번식의 원인을 발견한다. 따라서 우리는 음식물 부패의 원인과 병원균 번식의 원인을 발견한다. 따라서 우리는 음식물을 냉동시키고 준비함에 있어
주의를 기울인다. 그밖에도 우리의 생활 미 업무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것들이 있다. 여러분은 여러분에게 실용적으로 매우 가치 있는 연구나 시험에
관한 규칙들을 수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여러분은 TOEFL이나 기타 취직시험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유형의 문제인 선다형 문제에 대한
분석과 그 문제의 정답 선택에 과학적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문제와 그 문제에 대한 가능한 모든 답안들을 읽을 때 여러분은 사실
수집이라고 하는 첫 단계의 작업을 하고 있는 셈이다. 여러분이 글의 내용을 잘 기억하고 있는 경우 여러분은 사실 입증의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그렇지만 여러분이 사실을 확인하기 위해서 글의 내용을 재검토 할 경우 여러분은 입증의 단계를 거치는 것이다. 정리의 과정에서는 여러분이 문제를
글 속에 제시된 진술들과 연관시키는 것이다.
답안들 가운데 어느 하나가 가장 적절하다는 결론을 내리는 경우 여러분은 이미 일반화 작업을 완료한 것이다.
여러분은 제시된 증거가 여러분이 택한 특정답안을 뒷받침해 준다는 결론을 내린 것이다. 문제가 단순한 것이어서 오직 하나의 정확한 사실에만
관련되는 것일 때는 그러한 과정 전체가 매우 빨리 진행되기 때문에 여러분은 자신이 과학적인 방법을 적용하고 있음을 의식조차 하지 못한다. 쉽게
답할 수 없는 문제일수록 더 만만치 않고 더 문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추정이나 관계파악과 같은 것을 요하는 문제로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통해 여러분의 의미파악 능력이 입증된다. 어떤 하나의 답안이 어떻게 해서 다른 답안들보다 더욱 적절하게 문제에 연관되는지를 독자여러분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본인은 이 책 전체에 걸쳐 여러 가지 문제들을 분석해 놓았다. 이러한 기술은 여러분이 TOEFL이나 GRE,
GMAT, 그 밖의 취직 시험을 치를 때 유용할 것이다.
주어지 글이나 문제가 유별나게 까다롭다고 해서 포기해서는 안 된다. 모든 글은
각각의 부분 혹은 내용으로 나뉘어질 수 있는 것이고 모든 문제는 글 속에 제시된 사실들과의 대비 하에서 검토될 수 있을 것이다.
'English > 독해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문법 비밀과외 57 [모르는 단어 무시하고 해석하기] (0) | 2006.04.03 |
---|---|
문맥을 통한 문장의 이해 (0) | 2006.04.03 |
[거로보카] 5. 선전기법 (0) | 2006.04.02 |
[거로보카] 4. 필자가 사용하는 특수기법 (0) | 2006.04.02 |
[거로보카] 3. 문맥을 근거로 한 단어의 의미파악 (0) | 2006.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