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 완벽가이드- 7.4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객체 프로퍼티와 메서드 앞서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바스크립트의 모든 객체는 Object 클래스를 상속한다. Date()와 RegExp() 생성자에 의해 생성되는 객체들처럼 특수화된 객체들에 각각 고유한 프로퍼티와 메서드가 있으며 동시에, 모든 객체에는 공통으로 Object에서 상속받은 프로퍼티와 메서드가 있다. 이러한 프.. IT_Programming/JavaScript 2010.07.04
자바스크립트 완벽가이드 - 7.3 연관 배열로서의 객체 객체의 프로퍼티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하는 마침표(.) 연산자는 이미 알아보았다. 배열에서 주로 사용하는 [] 연산자를 사용해도 객체의 프로퍼티에 접근할 수 있다. 즉, 다음의 두 자바스크립트 표현식은 완전히 동일한 값으로 평가된다. object.property object["property"] 이 두 구분에 나타나는.. IT_Programming/JavaScript 2010.07.04
자바스크립트 완벽가이드 - 7.2 객체 프로퍼티 객체 프로퍼티 값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마침표(.) 연산자를 사용하며, 접근하려는 프로퍼티를 소유한 객체가 이 연산자의 좌측에 위치한다. 일반적으로 이 자리에는 객체 참조를 담은 변수 이름을 사용하지만, 객체로 평가되는 자바스크립트 표현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마침표(.) 연산자.. IT_Programming/JavaScript 2010.07.04
자바스크립트 완벽가이드 - 7.1 객체 생성하기 객체는 복합 타입(composite datatype)이다. 즉 객체는 여러 값들들 결합한 것으로서 각 값에 붙은 이름을 사용하여 원하는 값을 저장하고 읽어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객체는 이름과 값으로 구성된 프로퍼티들의 집합이라고 할 수 있다. 객체로 결합되는 값들은 숫자나 문자열 같은 기본 타입.. IT_Programming/JavaScript 2010.07.04
자바스크립트 완벽가이드 - 6.20 자바스크립트 문장 요약 이 장에서는 자바스크립트 언어의 각 문장에 대해 소개했다. 표 6-1에 각각에 대한 문법과 용도를 요약해 두었다. 표 6-1 자바스크립트 문장 문법 문장 문법 용도 break break; brea 레이블; 가장 안쪽의 루프, switch 문, 또는 '레이블'로 명명된 문장에서 빠져나온다. case case 표현식: switch 문 내부.. IT_Programming/JavaScript 2010.07.04
자바스크립트 완벽가이드 - 6.19 빈문장 마지막으로 남은 자바스크립트 문장은 빈 문장이다. 아래같이 생겼다. ; 두말하면 잔소리지만 빈 문장을 실행하면 아무런 효과도 볼 수 없고 아무것도 실행되지 않는다. 이런 문장이 도무지 왜 필요한지 의아할 것이다. 하지만 빈 문장은 몸체가 없는 루프를 생성하려 할 때 이따금 유용.. IT_Programming/JavaScript 2010.07.04
자바스크립트 완벽가이드 - 6.18 with 지난 4장에서 변수의 유효 범위와 유효 범위 체인(변수 이름 판별을 위해 순서대로 검색되는 객체 리스트)에 대해 논한 바 있다. with 문은 유효 범위 체인을 임시로 변경하려 할 때 쓰인다. 문법은 다음과 같다. with (객체) 문장 위 문장은 유효 범위 체인의 첫머리에 '객체'를 추가한다. 그.. IT_Programming/JavaScript 2010.07.04
자바스크립트 완벽가이드 - 6.17 try/catch/finally try/catch/finally 문은 자바스크립트의 예외 처리 기법이다. 이 문장에서 try 절은 그저 처리할 예외가 발생할지도 모를 코드 블록을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try 블록 다음에는 catch 절이 이어진다. catch 절은 try 블록 내부에서 예외가 발생할 경우 호출되는 문장 블록이다. catch 절 다음에는 finall.. IT_Programming/JavaScript 2010.07.04
자바스크립트 완벽가이드 - 6.16 throw '예외'란 무언가 예외적인 상황이나 에러가 발생했음을 가리키는 신호이다. 예외를 '발생시키다(throw)'라는 것은 그런 에러나 예외 상황을 알린다는 뜻이다. 한편 예외를 '잡아내다(catch)'라는 것은 그것을 처리한다는 뜻이다(즉 그 예외에서 회복하기 위해 무언가 필요하거나 적절한 행동.. IT_Programming/JavaScript 2010.07.04
자바스크립트 완벽가이드 - 6.15 return 지난 장에서 설명하길 () 연산자를 사용하여 함수를 호출하는 것 역시 표현식이라 했던 기억을 떠올려라. 그런데 모든 표현식에는 값이 있기 마련이다. return 문은 함수 호출 표현식의 값, 즉 함수에서 반환되는 값을 지정하는 데에 쓰인다. 아래에 return 문의 문법 예제가 있다. return 표현.. IT_Programming/JavaScript 2010.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