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http://bcho.tistory.com/m/post/960
애플 iOS 디바이스로 서버가 푸쉬를 보내고자 할때는, APNS 서비스를 거쳐야 한다.
푸쉬 메시지를 보내고자 하는 Provider 서버가 APNS로 푸쉬 요청을 보내면, APNS 서버가
디바이스로 푸쉬를 보내는 구조이다.
이때 APNS 서버와 Provider 서버를 어떻게 신뢰하는 지를 알아보자.
APNS 서버 입장에서는 Provider 서버가 해커가 아냐? 진짜 Provider 맞아? 하는 의문을 가질 수 있고, Provider 서버도 APNS 서버가 진짜 APNS 서버가 맞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양방향 SSL(TLS:Transport Level Security)를 이용해서 해결 한다.
먼저 SSL 메커니즘에 대해서 알아보자 SSL 을 비대칭 (PKI) 키 구조의 암호화를 이용하는데, Public Key 와 Private Key 두개를 가지고 있다. Public Key로 암호화를 할 수 있지만, 반대로 암호를 푸는 복호화는 Private Key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그래서 서버가 SSL 연결을 보낼 때, Public Key를 클라이언트에 내려 보내면, 클라이언트는 그 Public Key를 사용해서 메시지를 암호화 해서 서버에 전송하고, Private Key를 가지고 있는 서버만이 그 메시지를 해석할 수 있는 구조이다.
Main In The Middle attack
그런데 이 과정에서 취약점이 발생하는데, 서버가 Public Key를 내려보낼 때 중간에 해커가 서버서부터 온 Public Key를 낚아채고, 자신이 새로운 Public Key A1과 Private Key A2 페어를 만든 후, 새롭게 만든 Public Key A1을 클라이언트로 내려보낸다. 그러면 클라이언트는 이 Public Key A1을 가지고 암호화를 해서 중간에 해커에게 보내고, 해커는 이 메시지를 자신의 Private Key A2로 열어서 본후에, 다시 원래 서버가 준 Public Key로 메시지를 암호화 해서 서버에 보낸다.
이 때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Public Key와 Private Key로 안전하게 통신하는 것 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사실은 중간에 해커에 의해서 메시지가 도청되고 있는 상황이 된다. 이런 Attack 방식을 Man In The Middle attack (MITM)
Signing
이러한 Public Key가로채기를 막을려면 Public Key를 받는 클라이언트 쪽에서 이 Public Key가 APNS에서 온 것이 맞는지를 확인하면 되는데, 보통 이 Public Key는 인증서(Certificate)안에 넣어서 클라이언트에게로 배달된다. 이 때 메시지 변조를 막기 위해서 Certificate는 안에 들어 있는 메시지로 생성된 일종의 해쉬값과 같은 signature 값을 가지고 있어서, 만약에 내부 메시지가 변경이 되면 원래 signature와 비교하여 메시지가 변경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생성하는 것을 싸이닝(Signing) 이라고 하는데, 이 Signing은 Private 키로 생성되고, 이에 대한 비교는 Public Key를 통해서 할 수 있다. (Sign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Sign에 사용된 Private Key에 대한 페어 Public Key를 가진 인증서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 Public Key를 통해서 싸이닝을 확인할 수 있다.)
Channing
이 signature를 통해서 전달되는 메시지가 변조되는 것을 막을 수 는 있지만 위의 MITM attack 처럼 인증서 자체를 통째로 바꿔칠 수 있기 때문에, 이 인증서가 믿을만한 인증서인지를 확인해야 한다. 인증서에는 인증서를 발급한 기관 (CA : Certificate Authority)정보가 들어 있는데, “XXX에서 인증서를 발급함” 이라는 정보가 들어 있다.
그런데 문제는 이 인증서를 발급한 기관을 믿을 수 있냐는 거다. 구멍가게가 될 수 도 있고
은행과 같은 인증된 기관이 될 수 도 있다. 그래서 사용하는 기법에 인증서 Channing 기법인데, 인증서를 발급한 사람이 이 인증서를 신뢰된 기관에 가서 인증을 받은 후, 그 인증 정보를 인증서에 추가하는 방식이다.
아래 그림을 보자, 맨 아래의 Engineering CA는 자체 적으로 인증서를 발급하였다. 이 인증서를 USA CA certificate에 보내서 추가 인증을 받는다. 그런데, 이 USA CA certificate 인증서는 이미 신뢰된 기관으로부터 인증을 받은 인증서이기 때문에, 이 신뢰된 기관의 인증 정보가 추가되게 된다. (신뢰된 인증 기관으로부터 인증서에 서명을 받으려면 회사 정보,신상 정보 등을 받은 후에 신원 확인 절차를 거쳐야만이 서명을 받을 수 있다.)
(출처 :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Introduction_to_Public-Key_Cryptography)
그래서 최종 인증서 모양은
이러한 형태가 되고, 클라이언트는 이 인증서 chain을 통해서 Root CA가 신뢰된 인증서인지를 확인하면 이 전체 인증서가 신뢰된 인증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네트워크를 통해서 Root CA가 맞는지를 확인하게 되고, 만약에 Root CA라도 외부로 노출이 되었을 경우에 Revoked List라는 유출된 인증서 목록을 유지함으로써 인증서가 문제가 없는 인증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절차를 거치면 MITM Attack을 통한 감청을 막을 수 있다.
다음 문제는 클라이언트 입장에서는 서버가 신뢰할 수 있는 서버인지를 알 수 있다. (Provider는 이 Root CA를 통해서 서버가 APNS 서버임을 알 수 있다.)
Mutual SSL
그러나 서버 입장에서는 클라이언트가 Provider서버가 맞는지? 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것이 인증 (authentication) 과정인데, TLS(SSL) 연결이 안전하게 설정된 후에, 사용자 ID,PASSWD를 넣어서 클라이언트(Provider)를 확인하는 방법도 있지만, 조금 더 확실한 방법으로, 클라이언트가 발급한 인증서를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 방식이 양방향 SSL 방식 (Mutual SSL) 인데, SSL 연결이 될 때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Public Key 를 내려 보내는 방식과 마찬가지로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Public Key를 전송하고 메시지를 클라이언트의 Private Key를 이용해서 암호화 해서 보내는 방법이다.
이 때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전송하는 Public Key는 인증서를 통해서 전달이 되게 되고, 인증서에는 인증서 발급 기관등의 정보가 들어가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서 클라이언트를 인증을 할 수 있다.
APNS의 CSR
그래서 APNS의 경우에는 Service Provider가 Private/Public Key pair 를 생성한 후에, Public Key만을 담은 인증서를 생성하여, 웹사이트를 통해서 Service Provider 업체에 대한 정보와 함께, 싸인을 요청한다.
싸인을 진행할 때 애플은 인증서에 대한 고유 ID등을 통해서 이 인증서를 통한 호출이 어느 기관(업체)에서 들어오는지를 맵핑 해놓고, 향후 양방향 SSL 연결시에 이 정보를 가지고 클라이언트를 판독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전체 서버간의 플로우를 보면
<!--[if !supportLists]-->1. <!--[endif]-->Provider는 Private Key를 생성한다
<!--[if !supportLists]-->2. <!--[endif]-->이 Private Key를 기반으로 *.csr 파일(인증서 싸인 요청 파일)을 만든다. 이 파일에는 Public key가 들어 있는 인증서와 싸이닝을 요청하는 Provider의 업체 정보들이 들어가 있다.
<!--[if !supportLists]-->3. <!--[endif]-->Provider는 애플 포탈에 들어가서 이 csr 파일을 업로드 한다.
<!--[if !supportLists]-->4. <!--[endif]-->애플 포탈은 csr 파일을 기반으로 인증서(certificate)를 생성한후에, 애플의 인증서를 이용해서 싸인을 추가해서 Provider에게 돌려준다.
<!--[if !supportLists]-->5. <!--[endif]-->Provider는 4에서 받은 인증서(public key가 들어 있는)와 1에서 생성된 Private Key를 Provider 서버내에 설치 한다.
<!--[if !supportLists]-->6. <!--[endif]-->이때 1에서 생성한 Private Key,그리고 애플이 싸이닝하여 추가된 Public Key 가 들어 있는 인증서, 인증서 체인에 사용된 모든 인증서를 추가해서 한 파일(*.p12)에 넣는다.(*.p12 파일 포맷은 X.509를 지원하는 파일 포맷중에 유일하게 Private Key를 같이 넣을 수 있는 포맷이다.)
APNS와 Provider간의 Trust
다음 통신이 이루어지게 되면, 아래 그림과 같이
<!--[if !supportLists]-->1. <!--[endif]-->Provider Server가 TLS 연결을 요청한다.
<!--[if !supportLists]-->2. <!--[endif]-->APNS 서버는 certificate(인증서)에 public key를 넣어서 내려 보낸다.
<!--[if !supportLists]-->3. <!--[endif]-->Provider는 이 인증서의 Root CA를 확인하여, 이 인증서가 애플에서 온 정상적인 인증서임을 확인한다. (Provider가 상대편이 APNS임을 확인함)
<!--[if !supportLists]-->4. <!--[endif]-->Provider는 앞의 CSR에 의해 생성된 인증서를 APNS에 보낸다.
<!--[if !supportLists]-->5. <!--[endif]-->APNS는 4에서 온 인증서에 애플의 인증서로 Sign 이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고, 클라이언트가 (Provider) 합법적인 클라이언트임을 확인하고,어떤 사용자인지를 판독한다. (APNS가 Provider가 누구인지를 확인하였다.)
<!--[if !supportLists]-->6. <!--[endif]-->마지막으로 양 서버간의 신뢰돈 TLS(SSL)연결이 성립되었다.
'IT_Programming > Objective-C · Swift · i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ios] View Controller 간의 transition control 하기. (0) | 2015.04.29 |
---|---|
UIViewController ( 뷰 컨트롤러 ) life cycle (0) | 2015.04.29 |
UIWebview를 이용하여 하이브리드 형태의 앱 개발시 주의할 점 (0) | 2014.11.10 |
[펌] 이펙티브 오브젝티브씨 | Effective Objective-c (0) | 2014.09.10 |
[iOS] App 이름 지역화하기. (0) | 2014.03.26 |